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상식적 성공법칙 1편 / 성공은 악의 기운을 사용해야 한다?

by 스크립티드 2023. 2. 20.
반응형
 
비상식적 성공 법칙
★ 라이프해커 자청, 조성희 대표, 박세니 대표 강력추천 ★ 일본 50만 부 베스트셀러 ★ 〈GQ JAPAN〉 선정 ‘TOP 마케터’ 간다 마사노리 대표작 “성공은 ‘악’의 감정에서 시작된다!” 상식을 뒤엎는 거칠고 직설적인 간다 마사노리의 성공 철학 20년 만이다. 2002년 일본에서 출간된 이후 50만 부 판매를 기록한 간다 마사노리의 대표작 《비상식적 성공 법칙》이 한국에 상륙했다. 출간된 지 오래된 이 책이 다시 주목을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 책을 읽고 인생의 각도가 달라지고 성공했다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고 계속 나오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말이 현실로 증명되면서 책의 가치를 알아보는 사람이 폭발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책에서 간다 마사노리는 부의 추월차선에 올라타는 8가지 습관에 대해 알려준다. 습관이라고 해서 으레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그가 내놓은 8가지 성공 습관은 성공한 사람은 절대 쓸 수 없는 ‘악’에 대해 비난받을 각오를 하고, 작정하고 쓴 이야기다. 그러다 보니 거칠고 투박하며 직설적이지만 수많은 성공자들이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깨닫게 된다. ‘한국의 간다 마사노리’라고 불릴 만큼 사고방식과 글쓰기 방식이 비슷한 ‘역행자’ 라이프해커 자청이 “이 책을 마주한 것은 큰 행운이며 일생일대의 기회”라며 강력추천한 이유도 그 때문이다.
저자
간다 마사노리
출판
생각지도
출판일
2022.06.30

성공한 인생을 살고 싶나요? 그렇다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으세요

좋아하는 것을 찾았다면 이제부터 열정을 쫓으세요.

이런 말들 어디서 많이 들어보셨죠?

동기부여 영상, 책들을 보면 수없이 하는 말들입니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이런 말을 한 사람은 이미 성공을 한 사람이죠

조언을 아예 듣지 말라는 얘기가 아닌, 접근방식을 달리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접근방식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상식적이지 않는 방식으로 다가가야 합니다.

범죄를 한다던가, 로또당첨을 얘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적으로, 여러분에게 질문을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마음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어떤 걸 선택하겠습니까?

이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우리는 항상 이런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는 점입니다.

알기 쉽게 말해, 항상 내적 갈등을 한다는 것입니다.

돈을 갖고 싶다라고 생각하면서도 돈은 중요하지 않아라고 말하고,

인간관계를 소중히 해야 한다”라고 생각하면서도, “이렇다간 평생직장만 다니게 될 거야”라며 혼란스러워합니다.

도대체, 어떻게 살아야 옳은 것인가 판단을 내리지 못한 채 마음사이에서 갈등하죠.

 

그렇다면, 어떤 것이 옳은 걸까요?

먼저 돈을 좇은 다음 마음을 쫒는 것입니다.

 

 

돈을 단순하게 좇는 것이 아닌 악의 기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악의 기운이라고 하면 사이비 종교나, 미치광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악의 기운이란 질투, 분노, 허영심과 같은 감정을 얘기합니다.

친구가 이번에 새 차 뽑았다며 자랑합니다. 질투란 감정을 느끼시나요?

상사가 일도 제대로 못한다며 면박을 줍니다. 분노란 감정을 느끼시나요?

꼭 성공해서 되갚아 주겠다는 생각을 불러오게 할 수 있을 겁니다.

질투와 분노란 감정은 매우 강력한 에너지가 됩니다.

의 감정은 인간의 본성이고, 부정할 수 없습니다.

성공하고 싶다면 이런 감정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악의 기운만으론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 구체적으로 성공에 대한 접근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비상식적 성공법칙 첫 번째:싫어하는 일을 적으라

처음부터 뭔가 수상할 겁니다.

좋아하는 일 찾기도 힘들어 죽겠는데, 싫어하는 일을 찾으라고?

하고 싶은 일을 정확하게 찾기 위해서는

먼저 하기 싫은 일부터 명확하게 골라내야 합니다.

 

왜 좋아하는 일을 먼저 찾으라고 하지 않을까요?

바로, 좋아하는 일엔 싫어하는 일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대기업을 가고 싶어 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이유는? 연봉이 높아서, 사람들의 시선, 가족의 기대 등이 있을 겁니다.

대기업을 가서 만족하는 이들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을 이기적인 생각으로 적어봐야 합니다.

나를 존중해주지 않는 상사와 일하는 것, 약속을 깨는 것, 건강하지 못한 것 등

만약 싫은 일을 정했다면, 좋아하는 일을 적는 것입니다.

이렇게 싫어하는 것을 하지 않으려면, 좋은 일에 더욱 초점을 맞출 수 있기에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보다 수월할 것입니다.

 

비상식적 성공법칙 두 번째: 목표를 종이에 적어라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김승호 회장님은 자신의 목표를 100일 동안 100번 쓰라고 말합니다.

끌어당김 법칙을 이용해 성공을 이루는 것입니다.

하지만, 끌어당김 법칙이 정확히 어떻게 하여 우리에게 성공을 가져다주는 걸까요?

무작정 종이에 목표를 쓰긴 하는데, 대체 이 짓을 왜 하는 건지 생각은 안 합니다.

끌어당김 법칙은 무의식인 상상력을 건드려 답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우리의 뇌는 최신형 컴퓨터와 다를 바 없습니다.

과거의 경험과 현재 펼쳐지는 상황 속에서 종이에 적은 목표에 답을 찾습니다.

만약, 목표가 내년까지 10억 벌기라는 목표를 세웠다면,

뇌는 무의식적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것입니다.

심리학 박사에 주장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1초당 1,000만 비트가 넘는 정보를 처리한다고 합니다.

 

사실 이렇게 말하면 1,000만 비트가 무슨 수준인지 가늠 이 가지 않을 겁니다.

지하철에서 잠시 눈을 감고, 하늘색 옷을 입은 사람을 떠올려 보고,

눈을 뜨면 하늘색 옷을 입은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이토록, 뇌는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목적의식이 없다면 발휘되지 않습니다.

마치,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아무런 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것과 같죠.

만약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에 대한 결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기록 또한 남겨주죠.

공간, 감정을 담당하는 우뇌에서 대부분의 정보를 처리하며,

언어를 담당하는 좌뇌는 소수의 정보를 처리합니다.

컴퓨터로 비유하자면, 우뇌는 하드디스크의 역할을 하는 반면

좌뇌는 모니터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우뇌는 다양한 정보를 하드디스크와 같이 축적할 수 있지만, 화면을 봐야지 알 수 있듯

좌뇌인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는 겁니다.

결론적으로, 목표를 종이에 적게 되면 뇌에서 끊임없이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인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